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상담사 3급 공부

청소년비행이론 3 - 의사결정, 낙인, 중화이론

by 한니발 렉터 2024. 6. 14.
728x90
반응형
SMALL

청소년비행이론 3

   목      차

8. 의사결정론

9. 베커와 레머트의 낙인이론

10. 마짜와 사이크스의 중화이론

 

 

8. 의사결정론이란?

 

- 문제행동의 원인으로 유전이나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을 강조하는 기존의 이론들은

당사자의 자유의지를 무시하는데, 인지이론가들은 이에 반대하여 결국 모든 문제행동은

개인의 자유의지로 의사결정하여 선택한 것이라고 보는 이론

 

- 주변환경의 영향을 결코 무시할 수는 없지만, 기본적으로 인간을 능동적인 존재로 본다면

아무리 주변 환경의 영향이 강하더라도 문제행동에 대한 선택 여부는 의사결정,

즉 의지에 달려있다고 보기 때문에 같은 환경, 유전인자, 신체적 특성을 지녔음에도

범죄의 길을 가는 청소년과 그렇지 않은 청소년이 존재함

 

- 문제행동의 수정은 결국 그것을 그만두겠다는 자신의 의지가 결정적이라고 보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대안을 제공

 

의사결정론자들이 보는 문제행동

 

- 월터스는 문제행동은 개인의 왜곡된 의사결정에 의해서 나타난 주장함

 

입력변인 - 문제행동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문제행동의 내용과 범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가정환경 등이 이에 해당

 

처리변인 - 개인의 성장과정, 손익계산, 지각오류

 

출력변인 - 문제행동의 결과로 얻게 되는 처벌은 그 문제행동이 재발할지 결정하는 단서로 작용하는데,

이론적으로 처벌은 받은 사람들은 다시 문제행동을 저지르지 않을 것이라 예측하지만,

정작 문제행동을 하는 사람들은 처벌을 부당한 처사나 자신의 행위를 과소평가하는 것

 

 

9. 베커와 레머트의 낙인이론이란? 

 

- 일탈행위를 1차적 일탈과 2차적 일탈로 구분, 일차적 일탈이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한 초기의 일탈 행동으로

주변인들 아니라 일탈자 스스로도 (비록 일회성이고 스스로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우연일지라도) 

근본적으로는 본인을 정상인이라고 여기는 상황을 의미

 

- 2차적 일탈은 그렇게 1차적 일탈을 저지른 사람이 처벌을 받게 되면, 그에 대한 반발심으로

더욱 일탈을 저지르게 되고 이는 사회적으로 완전한 일탈자로 낙인찍히는 결과를 초래

 

- 스스로가 그렇게 규정된 것에 대해 반발함과 동시에 일탈자로서의 지위와 그에 따른 역할을 받아들이며

다시 일탈을 저지르게 되는 상황을 2차적 일탈

 

낙인이론가들

 

베커의 낙인이론

- 비행 대한 사회적 반응이 이차적 일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사회집단이 일탈 규율을 만들고  규율을 특정 사람들에게 적용하고,

규율을 어긴 자들을아웃사이더 낙인찍음으로써 일탈을 만들어낸다 주장

- 비행자, 일탈자라는 낙인이 하나의 사회적 지위가 되고,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사회적 지위 중 가장 대표되는 지위가 된다고 주장

- 비행자는 이를 거부하지만 계속적인 사회적 반응은 결국 비행자라는 자아개념을 만들어

2차적 일탈을 하게 됨 

 

레머트의 낙인이론

- 낙인이라는 사회적 반응으로 일탈자 자신이 비행자라고 인정하게 되면,

제2의 비행을 저지르게 된다고 주장

- 1차적 비행은 다양한 맥락에서 일어날 수 있으나 2차적 비행의 중요한 원인은 낙인 때문

- 모든 1차적 비행이 2차적 비행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1차적 비행에 대한 반응이 낙인으로 인하여 사회적 냉대나 처벌로 이어질 때

2차적 비행이 발생한다고 주장

 

10. 마짜와 사이크스의 중화이론이란?

 

- 계층 간에 다른 규범 및 가치가 있다는 하위문화이론에 반대하여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청소년들도 그들만의 독특한 가치를 공유하고 있으나

중화, 즉 합리화를 통해 스스로를 통제하는 힘이 약해져 문제행동을 일으킨다고 보는 이론

 

- 기존의 하위문화이론에서는 청소년들은 문제행동에 대한 자신들의 의사나 판단없이

단순히 그러한 환경에 노출되어서 학습하고 비행을 저지른다는 입장이었지만,

중화이론에서는 청소년 역시 자신의 비행이 바람직한 행위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는 점을 가정

 

- 즉, 비행청소년들은 자신들의 비행이 나쁜 행위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지만,

특수한 상황의 경우 어쩔 수 없었다, 그렇게 나쁜 것만은 아니다,

다른 사람들이 먼저 잘못했다고 합리화함으로써 사회적 규범이나 전통을 중화시킴

 

중화의 유형

 

책임의 부정 - "가난해서 훔친거야." "그 때는 내가 제정신이 아니었어."

자신의 비행에 대하여 사실상의 책임이 없다고 자신을 합리화시키는 유형으로

비행의 책임을 불우한 가정환경, 부모의 양육태도, 빈곤 등의 외부적 요인으로 전가하는 것

 

가해의 부정 - "훔친 것이 아니라 잠시 빌린거야." " 다시 돌려줄 계획이었고 아무도 안 다쳤잖아."

자신의 행위로 손상을 입거나 재산상 피해를 본 사람이 없으니 괜찮다며 합리화하는 유형으로

마약을 복용하면서 내 돈 주고 나만 한 것이니 피해자가 없다고 주장하거나

절도를 저지르고 빌린 것이고 다시 돌려줄 예정이었으니까 결국 아무도 손해본 사람은 없다며

자신의 행위를 변호하는 행위

 

피해자에 대한 부정 - "원인 제공을 먼저 했으니 때렸다."

"나한테 먼저 피해를 줘서 대응한 것이다."

자신의 행위로 인하여 피해를 보게 된 사람은 그러한 피해를 입어 마땅하다고 생각하며

합리화하는 유형으로 책임을 피해자에게 전가하는 행위

 

비난자에 대한 비난 - "당신들은 얼마나 떳떳하다고 나를 욕하지?"

"정치인들은 수억씩 챙기는데 왜 나만 갖고 그래?" 

자신의 행위를 비난하는 사람들은 그럴 자격이 없다는 식의 비난으로 자신의 비행을 정당화하는 유형

 

더 높은 충성심에의 호소 - "조직의 의리를 지키기 위해서 때린 것이다." "가정을 지키기 위해서 훔쳤다."

사회의 일반적인 가치나 규범의 정당성은 인정하지만 주관적으로 더 높은 가치에 기반하여

비행을 합리화하는 유형으로 보통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가정이라는 상위가치를 들어

본인의 행위를 합리화하는 경우가 많음

728x90
반응형
LIST